CBNU대학안내
글로컬대학30 사업필요성
Crisis
위기의 지방대학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학 소멸 위기

대학입학자원(2020-2050) - 대학입학정원 51만명
- 2020 ~ 2024(글로컬대학출범시점) / 급감기 / 대학입학자원(명) - 40만명 이상
- 2024(글로컬대학출범시점) ~ 2030 / 슴고르기 / 대학입학자원(명) - 40만명(골든타임)
- 2030 ~ 2040 / 폭락기 / 대학입학자원(명) - 40만명 ~ 20만명(전국에 재적정원 3만명 규모 종합대학 35개교만 있으면 충분)
- 2040 ~ 2050 / 위기 / 대학입학자원(명) - 20만명
-
2024년 입시
대학입학자원 39.8만명으로 대입정원 대비 11만명 부족
-
입학자원 급락
2030년 대학입학자원 40만명 → 2040년 대학입학자원 20만명
지금이 폭락기를 대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우리대학 입학정원 및 등록금 수입 추이 현황

우리대학 입학정원 및 등록금 수입 추이 현황
- 2008 / 등록금수입(억원):534, 입학정원(명):3,168
- 2009 / 등록금수입(억원):526, 입학정원(명):3,116
- 2010 / 등록금수입(억원):513, 입학정원(명):3,116
- 2011 / 등록금수입(억원):499, 입학정원(명):3,116
- 2012 / 등록금수입(억원):403, 입학정원(명):3,086
- 2013 / 등록금수입(억원):344, 입학정원(명):3,095
- 2014 / 등록금수입(억원):318, 입학정원(명):3,095
- 2015 / 등록금수입(억원):346, 입학정원(명):3,002
- 2016 / 등록금수입(억원):325, 입학정원(명):2,785
- 2017 / 등록금수입(억원):330, 입학정원(명):2,738
- 2018 / 등록금수입(억원):324, 입학정원(명):2,738
- 2019 / 등록금수입(억원):313, 입학정원(명):2,738
- 2020 / 등록금수입(억원):296, 입학정원(명):2,738
- 2021 / 등록금수입(억원):309, 입학정원(명):2,756
- 2022 / 등록금수입(억원):305, 입학정원(명):2,806

우리대학 입학정원 및 등록금 수입 추이 현황
- 학부 등록금수입 : 2008학년도 534억 → 2022학년도 305억 / 229억 감소
- 학부 입학 정원 : 2008학년도 3,168명 → 2022학년도 2,806명 / 362명 감소
Opportunity
글로컬대학 30은 기회입니다.

- '23년 10개 내외 시작
- 매년 5개교 내외 선정
- 5년간 약 1,000억원 지원
- '27년 까지 30개 내외로 글로컬대학 확대 예정
주요추진내용
- 지역혁신을 위한 산학협력의 허브
- 대학 안·밖 경계를 허무는 유연한 대학 운영
- 대학운영 성과 및 지역사회 기여도 공개
- 대학의 과감한 대 도약을 위한 혁신 추진체계 운영
'글로컬대학 30' 선정절차 및 일정

- 예비지정 신청 / 대학비전,지산학,협력의지 등 / 계획제출 / 23.5.31 / 예비지정 단계
- 글로컬대학 위원회 / 글로컬대학 위원회를 통한 / 예비지정 결과발표 / 23.6월 / 예비지정 단계
- 실행계획 수립 / 지자체(광역 또는 광역·기초 지역산업체와) / 실행계획수립 / 23.6~9월 / 본 지정 단계
- 교육부 / 지자체에서 취합받아 / 총괄 제출 / 23.10.6 / 본 지정 단계
- 글로컬대학 위원회 / 글로컬대학 위원회의 / 본지정 결과 발표 / 23.11월중 / 본 지정 단계
'글로컬대학 30'으로 확보되는 재정규모
-
글로컬대학 30 지원예산
학교별
1,000억 / 5년 -
지자체 지원금
500억~1,000억
-
대학 통합 지원금
300억~500억
합계 약 2,500억원
(참고) '23학년도 예산(대학자체수입) 679억 - (준)경직성 경비 642억 = 일반사업성 경비 37억
'글로컬대학 30' 비전 및 전략체계
비전
통합을 통한 혁신 극대화로, 지역과 함께 세계로 “Connect - Change - Conduce”
목표
-
주력 산업 특성화 대학
혁신선도인재
인력 1,000명 양성 -
수요기반 인재육성 대학
혁신선도인재
인력 1,000명 양성 -
글로벌 연구중심 대학
QS 세계대학평가
100위권대 진입
전략
&
과제
&
과제

글로컬대학 CCC MODEL
- CONNECT 공유▶연합▶통합을 통한 상생 협력과 특성화
- CHANGE 담대한 혁신과 도약
Change 내외부 경계허물기
- 1.충북대 - 한국교통대 통합 추진
- 2.학생중심 학사 제도 혁신
- 3.유연한 커리큘럼과 교육혁신
- 4.무한한 학생 지원
- 8.대학 통합을 통한 담대한 변화
Change 국제경쟁력 대도약
- + 글로벌 연구중심 대학 도약 [1-2]
- 5.국경없는 글로벌 K-교육 모델 혁신
Change 성과 기반 지속적 향상
- + 담대한 혁신을 위한 척도
- + 정량적 성과 관리 및 피드백
Change 추진 거버넌스 혁신
- + 글로컬 대학 추진체계
- + 지산학연의 협력추진
Change 지산학연 협력 허브
- + 산업 맞춤형 특성화 대학 [1-1]
- 6.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 7.충북을 아우르는 거점대학
우리대학과 한국교통대학 통합 과정도

- 충북대 한국교통대 / 교수, 학생, 직원 구성원별 통합 찬반투표 / 23.5.31
- 글로컬대학 위원회 / 글로컬대학위원회의 본지정 결과발표 / 23.11월 중
- 충북대 한국교통대 / 충북대, 한국교통대, 통합신청서 제출 / 24.12월까지
- 교육부 / 대학통합 승인 / 25. 상반기, 25. 하반기
- 통합대학 / 통합대학 출범 / 26.3월, 27.3월
글로컬대학 30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열쇠입니다.
Innovation
글로컬대학 30으로 변합니다.
거점국립대 1위 도약
- 글로벌 연구중심대학
- 취·창업률 1위 대학
- 대학+지역 동반성장 특성화대학
학생
교육환경개선
- 학과별 특성에 맞춘 스마트강의실 구축 및 단과대학별 리모델링 추진
- 최첨단 실험실습기자재 확충
- 단과대학별 대규모 온라인 공동강의실 신설 등


장학금 확대
- 교내장학금 확대 지원(학부 50억 / 대학원 30억)
- 자기주도장학금 등 학생중심 장학금 제도 다양화 등

학생 취·창업지원
- 학생주도 Gap-Zero 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 학생 창업 아이디어 상품화/사업화 프로그램 지원, 창업캠프 확대
- 대기업, 공기업 채용설명회 개최 및 자소서 면접 특강 등 취업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 일류 외국어(토익) 강사 온/오프라인 강의지원
- 외국어시험(토익·토플, HSK, 델프, 토르플 등) 비용 전액 지원 등
- 대기업/공기업 현장실습 및 인턴제도 확대
학생 글로벌 역량강화
- 해외연수 프로그램, 해외 우수대학 교환학생 제도 확대
- 매년 동계/하계방학 300명씩 15일 정도 해외연수프로그램 운영
- 해외 대학-우리대학 학·석사연계과정 신설 등

학생 복지지원
- 캠퍼스 내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카페, 푸드코트 등 유치 및 학생 할인 지원
- 스포츠센터 학생 할인 확대
- 학생복지 복합시설 구축 (포토존, 플리마켓, VR체험, 자율학습공간 등)
- 학생주도 행사 다양화 및 지원
- 학내용 킥보드, 전기자전거 무료 임대
- 학교 셔틀버스 (오송역, 터미널 및 교내) 운영 등

교수
- 교내 연구비 확대 지원
- 실험실, 연구실 등 연구환경 개선
- 우수대학원생 확보를 통한 연구지원 강화
- 기초보호학문 분야 지원 확대
직원
- 구성원 예술동아리 공간 확충
- 직원 국내외 직무연수 확대
- 직원 근무지, 희망부서 적극 반영
- 교직원 체력단련 프로그램 신설
- 직원 승진기회 확대(기획력강화 프로그램 지원)
- 대학회계 공무직 장기근속수당확대
글로컬대학 30으로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CBNU가 될 것입니다.
참고1
통합관련 주요 Q&A
통합의 대상으로 한국교통대학교를 선정한 기준은?
- 충북대학교가 최상위 거점국립대학으로서 지역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지역의 주력산업 분야 우수인재 양성에 가장 적합한 대학으로 한국교통대학교를 선정함
- 대학규모, 정원, 재정 등을 검토하여 우리대학이 발전하는데 가장 좋은 방향을 선택함
- 한국교통대와 통합할 경우 거점대 1위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음
참고
충북대학교 교수회 “충북대학교 미래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우리대학의 미래 대비 및 발전을 위해서 다른 국립대학과의
통합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통합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우리대학이 도내 타 국공립대학과 통합한다면 어느 국공립대학과의 통합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참고
충북대학교 직원회 “글로컬대학30 사업추진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우리대학의 미래 대비 및 발전을 위해서 다른 국립대학과의
통합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통합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우리대학이 도내 타 국공립대학과 통합한다면 어느 국공립대학과의 통합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통합과 관련된 학내 구성원 찬반 투표 일정은?
- 찬반투표 일정:'23. 9. 19.(화) 09:00~21:00
- 교수, 직원은 온라인투표, 학생은 대면(오프라인) 투표로 진행됨
학생 찬반투표를 대면(오프라인) 투표로 진행하는 이유는?
- 각 구성원별 투표일정, 투표방식 등은 모두 우리대학 구성원 대표인 총학생회, 교수회, 직원회에서 협의하여 결정함
- 총학생회에서는 학생들의 투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찬반투표 관련사항을 결정한 것임
- (투표방식) 대면투표, (투표기간) '23. 19.(화) 09:00~21:00
- 각 단과대학에 투표소 설치 및 재학생 수를 고려하여 기표소 설치
- 과반 이상의 투표율 달성을 위해 휴학생을 제외한 재학생으로 유권자 설정
통합이 되면 교명은 어떻게 결정되는지?
- 지역명+대학교라는 거점국립대학의 교명은 그 자체로 경쟁력과 브랜드가치를 상징함. 지금까지 통합에 성공한 대학들이 거점국립대학 교명을 통합대학 교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생각함
- 다만, 통합대학교명은 양 대학의 충분한 논의 및 상호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며, 「국립대학 통폐합 기준」에 따라 통상 다음 절차를 거쳐 결정됨
- 대학에서는 구성원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공모 또는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교명을 선정해 교육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함
- 교육부에서는 해당 교명에 대해 전국 대학 대상 의견수렴을 실시하고, 의견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대학 통·폐합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통합대학 교명을 대학에 통보함
통합이 되면 졸업장에 기재되는 교명은?
- 교육부 규정에 따르면 졸업장에 기재될 교명은 통합 이전 입학생의 경우 입학시 대학명으로, 통합 이후 입학생의 경우 통합대학 교명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함. 다만, 통합 이전에 입학하였으나 통합 이후 졸업하는 학생의 경우, 통합에 따른 학생 권익 보호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참고
경상국립대 : 통합이전 학교명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특례규정 졸업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졸업장에
경상국립대 교명을 기재하는 것이 가능
통합이 되면 교수·직원의 경우 충주·증평캠퍼스로 발령이날 가능성이 있는지?
- 통합시 교수·직원 모두 본인 의사에 반하는 원거리 인사발령은 없을 것임
참고2
타 국립대학 통합사례
(언론기사 참고용)
통합연도 | 대학명(통합 유형) | 통합 전(대학 유형) |
---|---|---|
2023 | 한경국립대(일반) | 한경대(일반) |
한국복지대(전문) | ||
2021 | 경상국립대(일반) | 경상대(일반) |
경남과기대(일반) | ||
2012 | 한국교통대(일반) | 충주대(산업) |
한국철도대(전문) | ||
2010 | 인천대(일반-'13.법인화) | 인천대(일반-공립) |
인천전문대(전문-공립) | ||
2008 | 경북대(일반+제2캠퍼스) | 경북대(일반) |
상주대(산업) | ||
전북대(일반+제2캠퍼스) | 전북대(일반) | |
익산대(산업) | ||
제주대(일반) | 제주대(일반) | |
제주교대(교대) | ||
2007 | 강릉원주대(일반+제2캠퍼스) | 강릉대(일반) |
원주대(산업) | ||
2005 | 공주대(일반) | 공주대(일반) |
천안공대(전문) | ||
부산대(일반) | 부산대(일반) | |
밀양대(산업) | ||
전남대(일반+제2캠퍼스) | 전남대(일반) | |
여수대(산업) | ||
강원대(일반+제2캠퍼스) | 강원대(일반) | |
삼척대(산업) | ||
충주대(산업) | 충주대(산업) | |
청주과학대(전문) |
참고3
글로컬대학 30 예비지정 대학의 주요혁신내용
대학명 | 지역(유형) | 주요혁신내용 |
---|---|---|
충북대+한국교통대 | 충북(국립) |
|
강원대+강릉원주대 | 강원(국립) |
|
연세대(미래) | 강원(사립) |
|
한림대 | 강원(사립) |
|
경상국립대 | 경남(국립) |
|
인제대 | 경남(사립) |
|
부산대+부산교대 | 부산(국립) |
|
울산대 | 울산(사립) |
|
안동대+경북도립대 | 경북(국립) |
|
포항공대 | 경북(사립) |
|
한동대 | 경북(사립) |
|
순천대 | 전남(국립) |
|
전남대 | 광주(국립) |
|
전북대 | 전북(국립) |
|
순천향대 | 충남(사립) |
|